본문 바로가기

덤범의 화학/일반화학 이론

(2)
몰농도 m 계산하는 방법 입니다. 몰농도는 화학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으로, 용액 안에 포함된 용질의 양을 몰 단위로 표현한 것입니다. 몰농도는 용액의 체적과 용질의 몰수를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아래에서는 몰농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용질의 몰수 계산:용질의 몰수는 주어진 양의 용질을 몰 단위로 환산하여 구합니다. 몰수는 용질의 질량(m)을 분자량(M)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몰수(n) = 질량(m) / 분자량(M) ※용액의 체적 측정:용액의 체적은 일반적으로 리터(L)로 표시되며, 정확한 용액의 체적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관, 시린지, 플라스크 등을 사용합니다. ※몰농도 계산:몰농도는 용액 내에 존재하는 용질의 몰수를 용액의 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몰농도(C)는 몰수(n)를 용액의 ..
몰농도 M와 노르말농도 N의 관계식. 당량수 및 환산하기 몰농도 노르말농도 변환에 앞서 두 농도의 관계식을 알아보겠습니다 ※ 몰농도(M)와 노르말농도(N)의 관계식 몰농도 × 당량수 = 노르말농도 M × (eq/mol) = N (mol/L) × (eq/mol) = eq/L 몰농도를 알때 노르말 농도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당량수를 알아야 합니다. 당량수에 대한 이론은 따로 글을 작성하기로 하고 지금은 당장 몰농도에서 노르말농도 환산이 필요하신 분들이 찾아 왔다고 생각하고 물질의 당량수 값을 아래에서 보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 물질의 당량수 AgNO3의 당량수 = 1 eq/mol KNO3의 당량수 = 1 eq/mol NaCl의 당량수 = 1 eq/mol Na2CO3의 당량수 = 2 eq/mol BaCl2의 당량수 = 2 eq/mol CaCl2의 당량수 = 2 eq..